
지난 포스팅에 정리해둔 JSON 파싱에 이어 오늘은 새로운 과제가 주어졌습니다. 바로 XML 형식의 문서를 파싱 해보는 것입니다. JSON에 비해서 XML은 제게 다소 생소했습니다. 그렇기에 먼저 XML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XML이란? XML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자입니다. 이러한 XML은 HTML과 매우 비슷한 문자 기반의 마크업 언어(text-based markup language)입니다. 이 언어는 사람과 기계가 동시에 읽기 편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XML은 HTML처럼 데이터를 보여주는 목적이 아닌,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할 목적으로만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XML 태그는 HTML 태그처럼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습니다. ..

String msgMap = sendREST(url); JSONParser parser = new JSONParser(); Object obj = parser.parse(msgMap); JSONArray jsonArr = (JSONArray) obj; for(int i = 0; i< jsonArr.size(); i++){ JSONObject jsonOjss = (JSONObject)jsonArr.get(i); Post post = new Post(); post.setTitle(jsonOjss.getAsString("b_subject")); post.setThumbUrl(jsonOjss.getAsString("b_imgPath")); post.setLink(jsonOjss.getAsString("b_ebo..